2022.05.23.
서울교사노동조합
서울실천교육교사모임
서울특별시교원단체총연합회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서울지부
좋은교사운동 서울 정책위원회
6.1 교육자치 선거, 학교 교육의 회복과 민주시민교육의 장이 되기를 기대하며
서울교육을 어디로 어떻게 이끌어야 할지에 대한 정책은 찾아보기 어렵다. 이런 문제제기를 하는 위 단체는 어떤 정책과 주장을 하고자 하는 것인가요?
코로나에 대한 이해와 비판에 대해 교사나 관계자는 어떤 주장과 실천이 있었나요? 가령 지금도 운동장 체육을 하면서 마스크를 하고 체육대회를 하는 것이 바른 일이라고 생각하나요? 백신 주입에 따른 사망자와 후유증으로 고생하고 있는 가족들에 대해 어떤 생각을 하고 있나요? 나만, 내 가족만 아니면 상관없나요? 교육이 그런 것인가요?
후보에게 다음과 같이 요청하는 것에 대한 의문입니다.
1. 정치적 이해득실만을 따지거나 근거 없는 상호비방 등 우리 아이들 앞에 부끄러운 모습을 보이지 않길 바란다.
- 뭐 하나마한 이런 소리는 무슨 의미가 있나요?
2. 교육을 교육 그 자체로 보고 학교 교육의 회복과 우리 아이들의 성장에 최우선의 가치를 두어 달라.
- 교육이 뭔데요? 교육의 회복과 아이들의 성장에 최우선을 어떻게 해야 하죠?
3. 정치공학이 아닌 서울교육정책 자체를 갖고 후보들 간 상호 열띤 논쟁을 펼쳐주길 바란다.
- 서울교육정책에 어떤 논쟁을 바라나요?
선거가 민주주의의 꽃이라고 생각하나요? 혹시 부르주아지 지배계급을 유지, 강화하기 위한 수단이라고 생각하지는 않나요? 교사는 교직원과 차이가 있나요? 아니면 시험을 잘 치러서 교사가 되었기에 직원과 차별을 가지는 것이 정당하다고 생각하나요? 도대체 무슨 주장을 하고 있는지 알 수가 없습니다.
'교육외'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 05. 23. 교육주체 공동 정책요구에 대한 비판적 성찰 (0) | 2022.05.24 |
---|---|
서울 학부모 2022인 조희연 서울시교육감 후보 지지선언에 대한 비판적 성찰 (0) | 2022.05.24 |
교장실을 없애십시오 (0) | 2022.04.11 |
서울교육감 추진위 주체와 관련하여... (1) | 2022.04.11 |
서울민주진보교육감 추진위 간담회에 전하는 의견 (0) | 2022.03.29 |